아난드 기리다리다스, 『엘리트 독식 사회』.
아난드 기리다리다스, 『엘리트 독식 사회』, 정인경 옮김, 생각의힘, 2019.
굉장히 재밌게 읽은 책. 아래는 (긴) 메모들.
제1장 그러나 세상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유복한 가정에서 자라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읽고 세상을 바꿔야겠다고 결심하게 된 힐러리 코헨이라는 한 여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빌 클린턴이 대학을 다니던 시절인 1960년대와 70년대에 “많은 이들이 ‘시스템’, ‘권력’, ‘인류’ 등의 언어로 이루어진 사고를 추종하는 경향이 있었다”(35). 그러나 이후 사회 변화에 대한 표준적 어휘는 상당히 바뀌었는데, “그 효과는 코헨이 발견했듯이 2010년대 초 조지타운에서도 감지되었다. … 이들은 문제를 해결할 최선의 장소로서 정부보다는 시장에 끌리는 경향이 있었다. … 예로부터 전해오는 젊은이 특유의 세계를 달리 해석하려는 충동은 이제 이 시대를 지배하는 관념에 의해 주조되고 인도되곤 했다. 진정으로 세상을 바꾸고 싶다면 자본주의의 기술, 자원, 인력에 의존해야 한다는 관념이 그것이다.”(38) 그러한 견해에 따르면, 사회 문제는 “부유한 기부자, 비정부 기구, 공공 부문 사이의 협력을 통해 해결되어야만 했다. 부자들을 공공 문제 해결의 지도적 위치에 배치한 이와 같은 방법이, 이들을 위협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저지하는 권력까지도 함께 부여한다는 사실은 언급되지 않았다.”(49)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는 민간 부문은 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기존의 사회 운동의 문법과는 많이 다른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새로운 센터에서 학생들은 사회적 가치 측면의 경력에 도움이 될 기금의 계획, 조직, 조성 방법을 배울 것이고, 소기업이나 비영리 기구를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 육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세계적인 지도자들도 소개받게 될 것이다.”(비크 센터의 홍보물, 49쪽). “공공 행위를 통한 공공 문제의 해결, 예컨대 법을 바꾸고, 법정에 출두하고, 시민들을 조직하고, 정부에 억울함을 청원하는 일은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49). 집합행위(collective action)에서 기업가 정신(entrepreneurial spirit)으로의 변화.
명문대인 조지타운의 다른 젊은이들처럼 1장의 주인공인 코헨 역시 컨설팅 회사에 취직하는데(조지타운 대학 학보사에 의하면, 조지타운 대학 졸업생 40%가 컨설팅, 금융 쪽으로 취직한다고 한다. 책 50쪽), 이것은 부분적으로 사회를 변화시킨다는 대기업들의 선전(e.g. 골드만 삭스의 “1만 명의 여성” 프로젝트, “소셜 임팩트 채권”) 때문이기도 했고, 또 비영리 부문, 비정부 기구들이 규모가 작고 체계가 없어 보이기도 해서였다. 코헨은 맥킨지에 취업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과로와 현실로 괴로워하게 되었다. 프로젝트 대부분은 세상을 구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단조로운 업무들이었다. … 그녀가 접한 프로젝트 대부분은 여기서 비용을 깎고, 저기서 시장 진입 전략을 짜는 등 그저 보통의 기업 자문 업무였다.”(51)
저자 기리다리다스는 “마켓월드MarketWorld”라는 용어를 새로 만들었는데, 마켓월드는 “현 상태로부터 이익을 얻으면서, 세상을 변화시키는 좋은 일도 해내는 신흥 권력 엘리트의 세계다. 이 세계는 계몽된 사업가와 자선단체, 학계, 언론, 정부, 싱크탱크의 세계에 있는 그들의 동료로 구성된다. … 이들은 대중의 삶, 법, 그리고 사람들이 공유하는 시스템을 개혁하는 일에는 관심이 없다. 그보다는 자유시장과 자발적 행동을 통해 사회변화가 추구되어야 한다는 생각, 자신들의 욕구에 적대적인 세력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승자와 그들의 동맹이 사회변화를 감독해야 한다는 생각, 그리고 현 상태의 최대 수혜자가 개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신봉하고 또 촉진한다.”(53) 마켓월드의 시장지향적 정신—주로 컨설팅 회사들의 조언과 자문에 의해 현실화되는—은 점점 많은 사회운동 부문에 침투하고 있는데(“코헨은 비즈니스 세계 외부에서는 이런 방법[컨설팅, 최적화]을 갈망한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다”, 55), 예컨대 오바마는 퇴임 후 민주주의 문화 촉진을 위한 재단을 세우고 그 직원들을 매킨지의 컨설턴트들로 고용했다(57-58).
제2장 윈윈
이번 장에서는 마켓월드의 주요한 행동 논리 중 하나인 ‘윈윈’을 다룬다. 이는 곧 사회 변화가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이의 게임의 규칙이나 분배 룰을 개혁하는 것보다는 ‘덜 적대적인’, 모두에게 좋은 방식이 있을 수 있다는 믿음이다. 이상적인 ‘윈윈’ 상황에서, “승자는 돈을 벌고, 좋은 일을 하고, 우쭐해하며, 어렵고도 자극저인 문제에 몰두하고, 자신의 영향력을 느끼고, 고통을 줄여가고, 정의를 전파하며, 국적을 넘나드는 이력서를 작성하고, 세계를 여행하고, 시선을 끄는 칵테일 파티 초대장을 얻는 등 다양한 묘미를 누릴 수 있었다.”(68)
이번 장에 등장하는 인물 중 하나는 애셔로, 애셔 역시 다른 박애주의자들처럼 아프리카의 한 지역을 방문한 이후 주민들의 삶에 충격을 받고 자선 사업, 박애적 사업을 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애셔는 그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 곰곰이 생각하기 시작했다. 마켓월드의 수많은 박애주의자들이 그렇듯이, 그녀도 자신과 주변 사람들, 그리고 그들이 소속된 기관들이 어떻게 하면 기존의 방식을 바꿀 수 있을지 고민하기보다는 새로운 무언가를 시작하는 데 더 관심이 있었다. 그녀는 자신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자문하면서 주변 사람들이 이미 했을 수도 있는 것은 배제했다(예컨대 헤지펀드들이 조세 회피에 그토록 엄청난 창의력을 발휘하지 않았다면, 정부가 해외 원조에 쓸 수 있는 세수가 더 많았을 것이라는 점은 더 말할 필요도 없다).”(64)
윈윈의 논리는 많은 기업들에게 수사로 채택된다. 69쪽부터 잠시 소개되는 저스틴 로젠스타인은 실리콘밸리의 개발자이다. 그는 협업용 소프트웨어 판매가 세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로젠스타인의 말: “기술의 영역에서는 수익을 좇으면서도 세상을 위해 좋은 일도 할 수 있는 엄청나게 많은 기회가 있습니다. 구글 검색은 역대 가장 엄청난 사례죠.”(73) 그러나 “이러한 식의 진보에 대한 믿음 덕분에 로젠스타인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무시할 수 있었다. 예컨대 그가 신봉하는 부류의 도구를 만들 때, 당신은 사람들이 그것을 어떻게 이용할지 알 수 없다. … 그는 십대들이 페이스북 게시물의 ‘좋아요’ 숫자에 집착하고 안달하는 사실을 알고 있고, 자신이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 궁금해한다.”(74)
이런 윈윈의 이념은 현대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적인 관념—시민들은 서로 상이한 이해를 가지고 시민사회에서 활동하고, 제도 안에서 다투고 조정하기 위해 정치적 권력을 위해 경쟁한다—과 다른데, 이런 낙관주의는 “중세 시대를 지배했던 진보로서의 조화라는 전망에 귀를 기울인다.”(83). “그러나 사람들의 선호와 욕구가 겹치지 않으며, 나아가 사실상 충돌하는 상황은 언제나 있다. 그렇다면 패자에게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누가 그들의 이익을 보호할 것인가? 예를 들어 모든 미국인이 괜찮은 공립 학교를 갖기 위해 엘리트들이 말 그대로 더 많은 돈을 내놓아야 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86)
제3장 베레모를 쓴 걱정에 찬 반란군 왕들
3장의 제목은 실리콘밸리의 혁신가들을 일컫는다. 그들은 자신이 현재 사회의 분배 구조에 책임이 있는 엘리트들이지만 마치 자신들이 소수파이고 혁신과 개혁을 위해 부패 내지는 기성 구조와 싸우는 것인 마냥 행동한다. “그러나 전체를 책임지지 않는 반란군은 자유롭게 자기만의 독특한 진리를 추구할 수 있다. 이것이야말로 반란군의 핵심이다. 자신과 다른 욕구를 지닐 수도 있는 타인에 대한 걱정은 반란군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 피셔바의 관점에서 우버 같은 회사가 규제 당국이나 노조와 빚는 마찰은 상충하는 이익 때문이 아니다. 그저 반대파와 맞서 싸우는 독특한 진리, 부패한 기성 질서에 대항하여 봉기하는 반란군이 보일 뿐이다.”(112) 여기서 등장하는, 우버와 에어비앤비에 투자한 벤처 사업가 피셔바는 대표적인 예이다. 그는 “택시 카르텔”을 독점에 책임이 있는 기성의 구조로 언급한다. “그는 노조를 “카르텔”이라고 언급했다. 매우 표준적인 노동운동의 특색을 띠었던 시위를 “전쟁 지역”으로 묘사했다.”(113)
“문자 포스팅에 비해 더 많은 광고 수입을 가져오는 비디오 포스팅에서 이윤을 창출하는 데 혈안이 된 어느 소셜 미디어 억만장자[저커버그]는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그가 소유한 강력한 알고리즘도 고쳐가며 자신의 바람을 마치 예언인 것처럼 제시했다. “나는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소비하는 콘텐츠 대부분이 비디오인 세상이 지금으로부터 몇 년 안에 도래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마크 저커버그가 이 예측을 발표한 이후에 「뉴욕」지는 “웹 콘텐츠의 대세는 비디오일 것이다, 이 같은 결정을 일방적으로 내릴 수 있는 사람이 말했다”는 기사를 실으며 정곡을 찔렀다.)”(109)
3장의 이후는 대부분 플랫폼으로 이윤을 축적하는 기업의 묘사에 할애되어 있다. 그들은 자신들이 권력(여러 의미에서의)을 가지고 있다고 인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에어비앤비의 경우, “흑인도 에어비앤비를 #AirbnbWhileBlack” 해시태그 운동에 대해, 자신들은 “플랫폼만 제공할 뿐, 웹사이트상의 자율적인 두 사람 사이에 일어난 일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없다는 주장을” 편다. 택시 기사와 자신의 관계를 자유롭게 계약을 맺은 동등한 계약 당사자인양 주장하는 우버도 마찬가지이다.
“자칭 기업가 반란군이 실제로 추진하고 있었던 것은 사람들을 마을·교회·영지의 특수주의로부터 해방시키며 모두에게 적용되는 보편적 규칙을 발전시키려는 계몽주의의 주요한 프로젝트를 전복하는 일이었다. 아마도 이 엘리트들이 마음속에 그린 세계는 규칙이 약화되고 기업가들이 시장을 통해 지배하는, 영주의 사적인 지배의 복귀 같은 것이었다. 그곳에서는 페이스북 백작과 구글 영주가 민주주의의 바깥에서 우리 모두의 운명을 좌우할 중대한 결정을 내리게 될 것이다.”(133)
제4장 비판적 지식인(public intellectual)과 지식 소매상(thought leader)
* 지식인들이 축적한 상징자본이 어떻게 ‘마켓 월드’—컨퍼런스, TED 강연 같은 자리—에서 엘리트들이 쉽게 소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환되고 판매되는지. 학술장에서 요구되는 논리와는 전혀 다른 지식, 정보들이 ‘마켓 월드’에서 다루어지고 있음. -> 문제에 대한 쉬운 해결책 강조. 막연한 구조나 문화에 대한 비판 없는, 개개인이 받아들여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해결책 제시. Incentive structure를 강조하는 메커니즘 (합리적 행위자 인간관). e.g. 맬컴 글래드웰의 1만 시간의 법칙?
* 176쪽: 커디라는 여성학 심리학자가 TED 강연으로 유명해진 후 이런저런 경영자들을 위한 컨퍼런스에 불려가는 대목. 선진적이고자 하는 조직은 다양성 프로그램을 강조하지만…
* 마야코프스키 시 인용: 174쪽. 좋은 글쓰기 방식.
“지식 소매상은 주로 TED 강연을 하는데, 여기에는 비판이나 반박의 여지가 거의 없으며 시스템의 변화보다는 희망에 찬 해결책이 강조된다. 공공지식인은 승자들에게 진정한 위협감을 준다. 반면 지식 소매상은 “혼돈, 자기역량 강화, 사업가적인 능력”을 부르짖으면서 승자의 가치를 홍보한다.”(152쪽)
뉴욕타임스 기자였던 두히그의 말.
“「뉴욕타임스」 탐사 시리즈는 결코 좋은 책을 만들 수 없어요. 그들은 이 세계, 아니면 특정 기업이나 어떤 상황에서 잘못된 것들은 빠뜨리지 않고 모조리 지적하니까요. 하지만 당신이 책을 읽는다고 해 봅시다. 그 누구도 얼마나 많은 것이 엉망인지 배우기 위해서 책을 읽고 싶어 하지는 않아요. 물론 그런 책들이 존재하기는 합니다. 정말이지 매우 가치가 있어요. 하지만 당신도 알다시피 그런 책의 독자는 거의 한정되어 있어요.”(166쪽)
“마켓월드 엘리트들은 그 어떤 것에도 도전하지는 않지만 희망을 주는, 마치 아이스크림처럼 흘러내리기 쉬운 아이디어를 사랑한다. 그들은 아무리 미약하고 논쟁적이더라도 과학적 권위에는 민감하게 반응한다. 엘리트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이들이 유용하고, 결과 지향적이며, 수익성 있는 아이디어를 요구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188쪽)
197쪽
“세상을 바꾸겠다고 애쓰며 선행을 하는 엘리트들이 너무 많다 보니 “만일 이들 모두가 한꺼번에 뛰기라도 한다면 아마도 지구의 축이 기울 것”이라고 기우사니는 농담으로 말했다. 그런데 정작 세상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보라. 들끓는 포퓰리즘, 분노, 분열, 증오, 배제 그리고 공포.”(199)
204-205쪽 스티븐 핑커
스티븐 핑커의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는 테러리즘이나 내전에 대한 미디어의 염려와는 다르게 인류의 폭력 수준이 시간이 갈수록 전반적으로 줄어들고 있음을 주장하는 책. 핑커의 강연은 “헤지펀드를 운영하는 사람들, 실리콘밸리의 사람들, 그 밖의 승자들 사이에서 ... 인기물이 되었다.” 핑커의 강연과 주장은 “시대의 불평등에 항의하는 사람들에게 불평을 그치라고 말하는 사회적 저항감이 덜한 방법을 제공했다.” 즉 사람들에게 ‘현실은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세상은 나아지고 우리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라고 말하는 것이 일종의 이데올로기가 된 것이다. “기우사니[TED 강연 조직자]는 ... 그 행위를 표현하는 동사를 발명했다. 인간 역사의 장기적인 방향을 이용하여 권력이 없는 사람들의 염려를 사소한 것으로 치부하고 정당하지 않다고 여기는 그들은 "핑커링Pinkering"을 하고 있었다.”(205-206쪽) 예: 5억 명의 중국인들이 빈곤에서 벗어난 것은 "경제적인 핑커링." 책에서 기우사니는 이런 말을 한다. “하지만 일자리가 중국으로 넘어갔기 때문에 맨체스터 공장에서 해고된 사람에게 그런 말을 한다면 그는 아마도 다르게 반응하겠죠. ... 현재의 상황을 정당화하는 데 활용되는 이러한 종류의 이데올로기에는 다양한 면이 있는 겁니다.”(206쪽) 이 책은 다른 "핑커링" 전문가로는 조너선 하이트의 예시를 든다. 다음 인용문은 조너선 하이트의 글. “그래, ISIS도 있고 나쁜 일도 많지만, 상황이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당신 같은 사람들은 지나치게 많은 진보를 기대하는 것이다.”(206쪽)
5장
장의 제목을 내가 다시 쓰자면, 컨설턴트처럼 보기Seeing Like a Consultant 라고 쓸 것 같다.
맥킨지 입사 면접에 자주 등장하는 문제는 “보잉 747기에는 탁구공이 몇 개나 들어 가겠는가”, “호주에는 매년 면도날이 몇 개나 팔리는가?” 따위의 질문이라고 한다(222). 이런 질문은 답을 듣기를 의도한 것이 아니고, 핵심은 “자신이 한 가정에 근거해서 추론한 방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추론은 “프로토콜”이라는, 컨설팅 세계의 일종의 사고방식 혹은 문제 해결 방식의 단면을 보여준다. “생각의 범위를 줄이고 참조하는 데이터의 양을 제한”하는 것이다.
“프로토콜과 이를 채택한 이들은 사회문제로 가득한 세계에 제공할 다양한 무기들—예컨대 엄격함, 논리, 데이터, 신속한 의사 결정 능력 등—을 보유하고 있었다. … 그러나 항상 대가가 있기 마련이다. 프로토콜에 의해 다시 포맷된 문제들은 승자의 시각에서 규정되었다는 사실이 그 대가의 일부였다. 말하자면 문제의 해결사들이 문제를 정의한 다음, 이것을 벗어나는 다른 시각은 배제한다.”
'독서 일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공동체벗, 『그런 자립은 없다』 (0) | 2019.07.10 |
---|---|
마틴 라이언스, 『책, 그 살아 있는 역사』. (0) | 2019.07.10 |
샹탈 무페, 『좌파 포퓰리즘을 위하여』. (0) | 2019.07.01 |
『황인숙이 끄집어낸 고종석의 속엣말』(삼인) 독서. (0) | 2019.07.01 |
재런 러니어, 『지금 당장 당신의 SNS 계정을 삭제해야 할 10가지 이유』. (0) | 2019.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