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ersen, Alan. 1997. “Risk, governance and the new public health.” pp.189-206. in Foucault, Health, and Medicine edited by Robin Bunton and Alan Petersen. Routledge. 일부 요약 번역. 



글의 목적 


- 푸코파(Foucauldian) 학자들이 발전시킨 위험(risk)와 통치(governance) 개념의 활용을 알아보기 위함. 이 장에서는 그러한 발전이 공중보건, 건강 분야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주로 다룸. 

- 로베르 카스텔(Castel): 현대의 ‘신자유주의적’ 사회에서는 감시와 관리 방식에 변화가 일어남. 전문 지식(expertise)과 주체(subject) 사이의 대면 관계를 통한, 위에서부터 아래로의 감시 및 관리가, 추상적인 위험의 추산에 기반을 둔 것으로 변화함. (189)


사회학에서 위험의 개념 


- 울리히 벡 & 앤서니 기든스: 최근에는 덜하지만 이들의 리스크 연구가 사회학 연구에서는 매우 지배적임. (189)

이들의 전통적인 근대적 관점은 푸코 류의 후기구조주의에 의해 비판받을 수 있음. 이 둘은 모두 산업화와 글로벌화로 인한 ‘심각한 리스크high-consequence risks’의 함의에 대해 주목함. 이들은 리스크가 후기 근대 문화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개인들의 계산(calculations of the self)에 있어 중요한 구성요소가 되고 있음을 지적. (190)


- 전통적 자아관: 자아의 미적-표현적 차원에는 주목하지 않음. 또한 자아의 ‘체현된’embodied 성질에 대해서도 주목하지 않음. 그리고 그들의 성찰성 개념에는 몸은 자아나 주체에 의해 관리되는 대상이라는 cognitive bias가 있음. (190)

- 이들이 상정한 주체는 자주적이고 합리적인 자아. 전문가 시스템을 성찰적으로 일상생활을 조정하는 데에 쓸 수 있다. 그런데 두 저자들 저작에서 모두 autonomous rational actor라는 근대주의적 담론은 꼼꼼한 검토에 부쳐진 적이 없다(191). 이들의 성찰적 자아관은 진화하고 진보하는 자기의식이라는 메타서사에 의해 뒷받침되고있는 것이다. 


- 기든스에 따르면 탈전통post-traditional사회에서 자아는 거대한 변화를 겪는다.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매우 다양한 선택지에 직면하게 된다. 라이프플래닝, 미래대비를 위한 선택들이란 매우 복잡하고 개인의 생애의 측면에서 보면 매우 유동적인 미래의 행위들을 다루게 된다. 

- 벡의 경우도 개인이 일단 전통적 commitments로부터 떨어져 나오게 된다면, 그들은 매우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서브컬처, 사회적 유대망과 정체성을 선택해야만 한다고 말함. 더이상 계급이나 핵가족이 개인의 외양,생활습관,아이덴티티를 결정하지 않는다. 이는 계급,가족을 중요시하는 게 아니라 후기 근대사회에서 개인성이란 대개 secondary agencies and institutions—노동시장, 소비영역—의 제약들 안에서 이뤄진다. 


- 두 학자의 주체관념은 푸코 학자들에게 의해 비판받음.  

- 로베르 카스텔, ‘from dangerousness to risk’



통치로서의 리스크 


- 대면 개입, 규제에서 예측, 예방으로의 패러다임 전환(192). 리스크는 이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나 행동을 불러올 수 있는 추상적인 요인들의 결과effect이다. 

- 카스텔: 리스크가 없고, 통제가능하고 예측가능한 확실한 상황이 대체 어디있는가? 리스크를 없앤다는 미명하에 전문가들은 리스크를 예방하기 위해 생기는 더 큰 리스크들을 끌고온다. (193) ‘the social and human costs of this new witch-hunt’은 잘 성찰되지 않는다(카스텔).


- 신자유주의 사회: 주체들에게 제한된 자치가 허용되는 자유의 영역을 확보시켜준다. 

- 로즈가 말했듯이 신자유주의적 합리성은 기업가적 개인을 강조한다. 이들은 자유와 자주성autonomy를 갖추고 자신을 잘 돌볼 능력이 있다. 

- 초기 자유주의 그리고 신자유주의 통치합리성은 통치받는 당사자의 자기규율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같지만 신자유주의 합리성은 합리적 자기규율self conduct이 당연한 인간의 본성(=interest motivated, rational ego)이 아니라는 것에서 다르다.

(194)


신자유주의는 주체들로 하여금 그들이 끊임없는 자기통치self-governance의 프로세스, 즉 자기관리, 자기돌봄, 자기개선(자기계발)에 진입하게 한다. 건강관리는 그러한 자기돌봄과 아주 잘 얽혀있는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