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카와 함께 웃기

2018. 5. 8. 08:26

월리스의 「카프카의 웃김에 관한 몇 가지 말」과 카프카의 「학술원에 보내는 보고서」를 읽고 쓴 글 



# 개인적 고백 혹은 TMI 


잠시 개인적 변화를 이야기하며 글을 시작할까 한다. 무엇이냐면 바로 내가 최근 들어 웃음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소설을 읽을 때나 드라마, 영화를 볼 때, 그리고 심지어는 수업을 들을 때나. 중요한 것은 남들이 따라 웃지 않는 지점에서도 혼자 웃는다는 것이다. 가까운 예로는 최근 영화관에서 홍상수의 영화 「클레어의 카메라」를 본 적이 있는데, 개인적으로 생각할 때에는 웃긴 장면들이 많아 끅끅거리며 자주 웃었으나 주변의 관객들은 전혀 웃지 않은 것 같아 영화가 끝나고 나갈 때 혹시 방해가 되지는 않았을까 걱정하기도 했다. 물론 이것은 개인적인 측면에 한정할 때 아주 좋은 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유년기와 청소년기 때 부모님과 학교 선생님들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로부터 항상 꽁해 있고 삐딱한 생각만 한다고 자주 지적을 들었기 때문이다. 웃는 낯에 침을 뱉을 수는 없다는 속담을 감안할 때, 나는 이제 자주 웃음으로써 비로소 세상과 화해하기 시작한 셈이고, 또한 생리학적으로 볼 때 웃음은 건강에 좋다고 하니 이는 아주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이 신변잡기가 카프카와 어떤 상관이 있을까? 혹시 웃기지도 않은 카프카의 텍스트를 웃기다고 애써 변호하기 위해 원래 나는 잘 웃는다는 알리바이를 마련하기 위해서일까? 그런 의도가 없지는 않다. 카프카의 텍스트를 읽으며 웃을 때 주변에 같이 웃어주는 사람이 별로 없어서, 원래 이게 웃긴 것인지 내가 잘 웃게 된 것이 원인인지 생각하기도 했으니까. 하지만 카프카의 텍스트가 사실 정말로 웃기다는 것을 지적하는 몇몇 작가들이 있었고, 바로 이것으로부터 내가 전적으로 이상한 것만은 아니었구나 하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 작가들 중 한 명이 이번에 소개한 에세이의 저자인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이다. 



# 월리스의 말 (1) - 자아와 유머 


월리스가 지적하는 바의 핵심은 “농담을 오락으로 여기고 오락을 안심되는 것으로 여기는 문화에서 자란 학생들에게는 카프카의 위트가 접근 불가능한 것”이 된다는 것이다(179쪽). 이것은 물론 이해하기 쉽지 않다. 월리스가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은 카프카의 유머는 우리를 ‘달래 주는’ 방식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히려 그것은 우리의 신경을 긁는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이것은 카프카 소설의 핵심을 놓친다면 음미하기 어렵다. 여기서의 키워드는 자아(self)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우리가 자아를 그저 ‘가지고’ 있다고 (“that a self is something you just have”) 생각한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우리가 자아, 혹은 비유하자면 ‘집’을 향하여 “끝이 보이지 않는 막막한 여정을 밟아가는 과정 그 자체가 사실은 우리의 집이라는 것”, 이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우리가 그 자체로 개별적인 존재라고 생각을 한다. 혹은,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우리가 개별적인 존재인데 아직 내면의 ‘진정한 나’의 부름에 응답하지 못하고 있거나 그것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두 경우 모두가 월리스가 각주 3번에서 지적하는 ‘도피’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어쩌면 우리 사회에 만연한 생각, 즉 개인이 그저 그 자체로 개별적인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이 비극일 수도 있으며, 바로 그렇기 때문에 그 막막함 내지는 절박함 자체에 대해 그다지 생각해보지 않은 사람은 카프카의 유머에 접근하기 어려운 것일 수 있다. 



# 월리스의 말 (2) - 집요함과 비극


“우리는 정확히 그 절박함의 정체가 무엇인지는 몰라도 하여간 그 문으로 꼭 들어가야 한다는 필사적인 절박함을 느끼고 있고”(월리스, 181쪽) ... 카프카의 작품들의 특징 중 중요한 것 하나는 어떤 목표(가치/자아/목표 등 무엇으로 생각해도 좋다)를 향한 도정이다. 카프카의 두 가지 유명한 장편 소설 『소송』과 『성』에서 그러한 목표는 각각 ‘자신이 고발당한 이유를 명확히 밝히고 소송으로부터 승리하는 것/혹은 벗어나는 것’, ‘성에 가는 것’이다. 물론 이 목표들은 철저히 배반당하는데, 조금만 거꾸로 생각해볼 때 이 배반보다 중요한 것은 동기가 모호한, 인물들의 어떠한 집념이라고 할 수 있다. 정말이지 카프카의 작품 속 인물들은 이상하리만치 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집요함은 서사적으로 볼 때 비극을 극대화시킨다고 할 수 있다. (집요한 서술 자체가 만들어내는 유머에 대해서는 나중에 부연할 기회가 있다면...) 그런데 월리스는 “카프카의 희극이 또한 늘 비극이고 그 비극이 또한 늘 크고 경건한 기쁨이 된다는 더 깊은 차원의 연금술”(178쪽)을 지적한다. 


이 연금술은 어떻게 일어나는 것일까? 그것에 대해 답하기 이전에 우선 「학술원에 보내는 보고서」를 살펴보자. 이는 ‘유럽인의 평균 교양’ 수준에 도달한 원숭이 ‘빨간 피터’의 고백록이다. 그는 서두에서 학술원이 요청하는 바에 자신이 모두 부응할 수 없음을 먼저 이야기하는데, 왜냐하면 “지난 5년간의 세월”이 자신을 “과거 원숭이 상태에서 분리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그가 거쳐온 훈련이랄지 학습의 과정 이후 그는 이전의 그와 완전히 다른 존재가 된 것이고, 그 둘 사이에는 인식상의 심연이 있어 인간처럼 된 ‘빨간 피터’ 입장에서 이전의 원숭이로서의 삶을 회고하는 데에는 많은 부정확성이 따르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가 각고의 인내를 거쳐 인간이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소설에 등장하는 핵심적인 단어인 ‘출구’에 있다. 그는 출구를 찾아야만 했고, 그 단 하나뿐인 출구의 바깥에는 바로 인간의 삶이 펼쳐져 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출구를 찾는 것이 능동적인 행위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는 출구를 거쳐 인간이 되었지만 그것은 “원숭이로 머무는 것을 그만두”는 것에 다름 아니었다(149쪽). 즉 출구를 찾는 것은 선택의 여지가 없는 어느 정도 강요된 행위였으며 출구로의 도정 역시 인간이라는 도달 목표를 상정하고 계획을 착실히 실행하는 것이 아닌 그저 현재의 존재로 머무르기를 ‘그만두는 것’에 불과했던 것이다. 


이것은 소설에서도 계속해 언급하듯이 자유라는 상태와는 상반된다. 자유를 명확히 정의내리기는 어렵지만, 피터는 ‘사방팔방으로 돌아다니는 것’을 자유의 한 종류로 인식하고 있다. 사실 이는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자유의 개념과 그리 다르지 않다. 우리에서 벗어나 망망대해로 질주할 수 있는 것, 그것이 바로 자유이다.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빨간 피터가 자유를 “아마 제가 원숭이 시절에나 알았던 감정일 것”이라고 회고하는 것이다. 피터는 동시에 곡예사들의 움직임을 보고 자연을 거스르는 조직된 행동 역시 인간의 자유일 수 있겠다고 생각하는데, 바로 이 인식으로부터 자유란 것이 모호한 감정이며, 인간들이 “자유를 가지고 서로 기만하는 경우도 허다”하며(150쪽), 자신의 출구를 향한 몸부림을 자유라고 하기 어려움이 명백해지는 것이다. 결국 출구를 향한 몸부림은 목적 없는 ‘문을 두드리는 행위’ 그 자체였을 뿐이다. 



# 월리스의 말 (3) - 카프카의 연금술 


인간이 되어 출구를 연다는 것은 애당초 실현이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인간이 된다고 우리의 창살을 열어준다는 것은 처음부터 이행 불가능한 약속이다. 그런데 어쨌거나 (웃긴 일이지만) 출구를 향한 문은 열리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인간이 된다는 것의 모순 혹은 난점들이다. 원숭이를 부자유의 상태로 내몬 것은 인간이다. 이 부자유의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은 a) 원숭이로서의 자유를 최대한 활용하거나, b) 혹은 원숭이가 되지 않는 것이다. b는 원숭이의 자유를 포기하는 것이지만 창살을 벗어나게 해 준다. 창살을 벗어나 인간이 되는 것은 자유일까 자유가 아닐까? 자유 대신 탈주(출구)를 택한 행동이 과연 자유를 보장해줄 수 있는 것일까? 원숭이의 자유와 구분되는 인간의 자유는 존재하는 것일까? 


이렇게 인간이 된 피터의 회고에는 감탄과 절망이 혼재한다. 감탄은 어찌 되었건 훈련을 거쳐 “예술가로서 술병을 내던”지게 된 그 결과 자체에 대한 것이고, 절망은 인간들에게 있어 (사방팔방 뛰어다니는 의미의) 자유란 존재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으며, 그것은 사실 기만에 불과한 것임을 깨닫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가 그의 원숭이 시절을 일부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즉 그는 달리 할 수 있는 것이 없어 사방팔방 돌아다니는 자유를 택하는 대신 출구를 향하였는데, 공교롭게도 출구는 열리었으나  출구의 바깥에 역시 자유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즉, 강요된 상황에 처해 있다는 피터의 실존은 전혀 변하지 않은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글의 마지막은 씁쓸한 웃음의 절정을 장식한다고 할 수 있다. “제가 밤늦게 연회나 학회, 흥겨운 모임에서 집에 돌아오면, 반쯤 조련된 작은 암컷 침팬지가 저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원숭이 식으로 그녀 곁에서 쾌락을 얻습니다. 저는 낮에는 그녀를 보려고 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녀의 시선에는 어쩔 줄 몰라 하는 조련된 동물의 착란 증세가 깃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것은 저만 알아차릴 수 있으며, 저는 이를 견딜 수 없습니다.” 


쿤데라는 이렇게 말한다. “카프카적인 것의 세계에서 코믹한 것은 … 가벼운 어조를 통해 비극적인 것을 조금이라도 견딜만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니다. … (진실이든 가정된 것이든) 비극의 장엄함에서 아직까지는 찾아질 수 있는 위안을 희생자들에게 빼앗아 버림으로써 비극적인 것을 알(egg)의 상태에서 깨뜨려 버리는 것이다.”(Kundera, The Art of the Novel) 여기서 “카프카의 희극이 또한 늘 비극이고 그 비극이 또한 늘 크고 경건한 기쁨이 된다는 더 깊은 차원의 연금술”이 무엇인지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영웅의 좌절이 우리에게 눈물을 불러일으키는 이유는 그 (영웅의) 실패 자체에 대해 우리가 함께 슬퍼하고 위안삼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카프카의 비극은 전혀 장엄하지 않다. 피터는 인간의 삶에 대해 어떠한 가치평가를 내리지 않지만(“저는 한탄하지도 않고 만족하지도 않습니다”), 그가 견뎌할 수 없는 것은 엉뚱하게도 쇼의 막이 내린 뒤 집에서의 ‘암컷 침팬지’와 원숭이 식으로 교미를 나누는 상황에서이다. 이런 상황 자체가 일반적 비극에서 느낄 수 있는 슬픔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독자로부터 하여금 웃지 않을 수 없게 (큰 소리로 웃든 쓴웃음을 짓든) 만드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