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박희제, “과학자사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과학기술학의 세계』 2장; 데이비드 헤스, 『과학학의 이해』, 김환석 옮김, 당대, 2004. 


머튼(R. Merton)의 과학사회학

배경 
  • 구조기능주의 이론 (T. Parsons) 
  • 규범과 가치는 체계의 요소들을 결합시키고 패턴을 유지하는 데에 기여. 규범은 “사회적 과정과 관계들에 대해 규제적 중요성”을 가짐(파슨스; 헤스 111쪽에서 인용). 
  • 과학자사회의 가치와 규범은 과학자들의 행위를 규제할 것이라는 가정; 과학의 에토스는 제도적 가치를 가진 규범과 가치의 복합체 (머튼의 1942년 논문). 

머튼이 초점을 맞춘 과학 제도의 네 가지 규범 
  • 보편주의universalism
    • 비인격적 기준에 따라 연구의 업적 판단
  • 공유주의communism or communality
    • 과학적 발견은 개방적으로 신속히 공유되어야 한다
  • 탈이해관계disinterestedness
    • 과학 자체를 위한 과학; 혹은 연구가 주변 이해관계자들에게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 
  • 조직화된 회의주의organized skepticism 
    • 비판적이고 회의적인 태도 견지 
  • 이들은 흔히 CUDOs라고 불린다. 나중에 몇 가지(개인주의 등)가 더 추가되었지만 핵심은 위의 네 가지. 
  • “머튼에 따르면 16세기 이후 과학이 ‘공인된 지식의 확대’라는 제도적 목표를 성취하는 데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핵심적인 원인은 과학자사회가 … 사회적 규범을 갖고 있었기 때문”(박희제 30쪽). 

참고: technical norms 와 institutional imperatives (norms) 의 구분에 대해서는 헤스 111-112쪽 참조. 또한 미국의 과학제도의 사회학과 영국 권 과학지식의 사회학(SSK) 사이의 반목은 헤스 105-108 참고. 

머튼에 대한 비판 
  • 경험적 검증 과정에서 위에 제시된 규범의 존재 여부는 많은 비판을 받음 
  • 이언 미트로프: 대향규범counter-norms들의 존재 강조 (박희제 34쪽) 
  • 머튼의 규범구조에 대한 언급은 당위적 처방으로 이해되는 면으로서 가치를 지닐 수 있을 것 같다 (헤스 117쪽).
  • 마이클 멀케이: 규범은 자원으로서 동원되는 것일 수 있음. 
  • 구체적 과학자 집단마다 규범의 작동여부, 수용여부에 대한 인식이 상이할 수 있음. 혹은 상이한 규범이 작동할 수도 있음. 


과학제도 사회학의 계층화 연구 

배경
  • 과학자 사회의 보상 구조는 과학제도의 사회학의 관심 
  • 이상주의적 설명: 과학자사회에서 보상은 동료의 인정을 기초로 한다; “동료의 인정에 따른 보상체계는 과학 발전을 유도하는 핵심적인 기제가 되고, 진리탐구를 위한 학문적 기여는 제도적 목표이면서 동시에 개인적 보상의 원천이 된다.”(박희제 42)
  • 하지만 이상주의적 설명에 대한 비판; 머튼의 규범은 “과학자의 행동을 현실적으로 안내하는 보편적 형태로 존재하지 않”음 (헤스 114). 
  • Bourdieu의 비판: 과학사회는 하나의 장이며, 내부에서는 제도적 권력과 상징권력을 두고 투쟁이 일어난다. 
    • 하지만 제도주의 과학사회학은 장보다는 계층화, 보상체계에 영향을 주는 특수주의적인 것들에 초점을 맞춤. 

주요 이론, 개념들
  • 누적이익 이론cumulative advantage theory 
    • 초기 경력형성에 성공한 과학자일수록 인정과 자원획득에 더 유리, 그리고 이것은 다시 성공한 과학자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함. 
    • cf. 마태효과 (“누적이익 이론의 특정한 사례” 헤스 119쪽) 머튼 역시 이를 인식하고 있었음. 마태효과에 따라 상층부 과학자가 인정을 받을 가능성은 더욱 높아짐. 
    • 후광효과: 우수한 기관에 소속됨으로써 발생하는 이득 
    • 마틸다 효과(Rossiter): 여성의 업적이 간과되는 현상. 이는 과학자 명성이 보편주의적인 평가기준이 아닌 특수주의적 평가기준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하기도 함. 

  • 특수주의적 기제들 
    • 생산성과 동료의 인정 사이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해서 보편성 규범이 작동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인가?
    • 문제: 출신 대학의 prestige 
    • 경혐연구들은 유명하거나 유명하지 않은 대학에 소속되는 것은 연구자의 생산성의 효과라기보다는, 오히려 원인임을 지시함. 
    • 지도교수 네트워크의 영향 (헤스 127쪽) 

  • 기타 과학제도 사회학의 연구 결과 및 방법론에 대한 풍부한 서술은 헤스 127-155쪽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