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김환석, “인간과 사물의 동맹 맺기: ‘행위자-연결망 이론,’” 『과학기술학의 세계』 5장. 
데이비드 헤스, 『과학학의 이해』, 김환석 옮김, 당대, 2004. 
존 로, “ANT에 대한 노트: 질서 짓기, 전략, 이질성에 대하여,” Pp. 39-56 in 『인간·사물·동맹』, 홍성욱 편, 이음. 


행위자연결망이론 형성의 배경 
  • 미셸 칼롱과 브뤼노 라투르, 존 로가 함께 개발한 이론
  • ANT의 지적 전통
    • 포스트구조주의 철학 
    • 영미권의 과학기술학 (쿤이 원류인) 
  • 원래는 “과학과 기술을 사회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서 출발” (김환석 119)
    • 초기 명칭: 번역의 사회학(sociology of translation)
    • 이후 여러 분야에 걸쳐 쓰이는 범용적인 사회이론으로 부상

행위자연결망이론 개요와 방법 
  • 과학과 기술을 “크고 강한 연결망 구축의 산물로” 간주 (김환석 119)

행위자연결망이론의 방법
  • 행위자들을 추적하라Follow the actors!
    • 주된 관심을 받는 행위자는 연결망 구축자들--전형적으로 과학자들과 엔지니어들 
    • 기성의 과학과 기술이 아닌,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making 을 관찰 
    • 인간, 비인간 행위자의 관계를 (그들의 시선을 통해) 추적함으로써 과학기술의 블랙박스를 열고자 함 
  • 실험실 연구(laboratory study)
    • 민속방법론적 기술을 채택함으로써 science-in-the-making 관찰할 수 있음 
    • 지표성(indexicality) 개념: 헤스 193쪽 참고.

행위자연결망 이론의 특징 
  • ‘왜 과학기술이 현재와 같은 모습을 하게 되었나’를 묘사하는 것은 다른 STS 이론들과 유사한 접근법이나, 행위자연결망 이론만의 특징 있음
  • most distinctive feature: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 사이 행위성을 동일한 것으로 간주. 
    • 왜 비인간 행위자가 능동적 행위를 할 수 없다고 가정해야 하는가?(미셸 칼롱, 존 로) 
    • 따라서 인간과 사물(동물, 식물, 텍스트, 기계, 건물 등)에 대해 동일한 분석적, 묘사적 틀을 채택해야 함(=일반화된 대칭성generalized symmetry)
    • actor 대신 ‘행위소’(actant)라는 단어 사용하기도 함. “누구로 무엇으로 표상되든” 행위를 할 수 있는 모든 존재자를 일컫는다(헤스 207쪽). 
    • the social과 the technocial은 모두 인간과 비인간으로 구성되어 있음—이것을 이질적 연결망(heterogenous network로 일컫는다(=존재론적 평준화). 
  • 행위자연결망이라는 용어: 데카르트적Cartesian, 이분법적 관점 거부. 모든 존재는 행위자이면서 동시에 연결망의 성격을 지님. 
    • 행위자의 정체성은 다른 행위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규정 
  • 연결망(network)이라는 개념도 매우 독특한 것
    • 종래 사회과학의 네트워크와는 다름 
    • 무엇이 어떻게 결합되어 있느냐를 살핌으로써, 한 연결망이 다른 연결망보다 어떻게 더 강력하고 내구적일 수 있는지, 권력이 어디에서 나와 어떻게 행사되는지를 묘사할 수 있음.
    • 권력과 연결성은 “상호 교직”되어 있음. 따라서 권력은 결합의 원인이 아닌 효과. 
    • 이것의 두 가지 효과 (김환석 125쪽)
      • ANT에 있어 “본질이란 없고 오직 [연결망과] 효과만 있을 뿐이다.”
      • 미시, 거시의 이원론 폐기. 어떤 연결망이 다른 연결망보다 더 강력한 것은, 그 연결망에 귀속된 본질적인, 정태적인 속성 때문이 아님. “오히려 설명이 필요한 것은 그러한 [권력의] 차이.” 
    • “행위자연결망 이론에서 맥락·내용은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망의 상호적인 산물이다. 사실과 서술은 연결망을 따라 흐르며, 연결망이 확장되고 강고해짐에 따라 지식주장은 점점 더 수용되며(좀더 사실적 factual이 되며), 기술은 점점 더 성공적이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회구조도 변화한다.”(헤스 209쪽)

ANT의 주요 경험 연구들 
  • 파스퇴르의 탄저병 백신 개발 사례. 라투르, 「내게 실험실을 달라, 그러면 세계를 들어 올리겠다」(Give Me a Laboratory and I Will Raise the World, 1983; 이는 아르키메데스의 말을 비튼 것). 한국어 번역문: 브뤼노 라투르, 김명진 역 (2005). “나에게 실험실을 달라, 그러면 내가 세상을 들어올리리라.” 한국과학기술학회 강연/강좌자료, 77-96. 이를 정리한 문헌은 헤스 210ff. 김환석 127쪽 참고. 
  • 생브리외 만의 가리비 양식 실험. M. Callon, (1986). “Some Elements of a Sociology of Translation: Domestication of the Scallops and the Fishermen of St Brieuc Bay.” Pp. 196–233 in Power, Action and Belief: A New Sociology of Knowledge, edited by John Law.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한국어로는 홍성욱 편, 『인간·사물·동맹』(이음, 2010)에 번역되어 수록. 요약은 김환석 136-137쪽 참고.

ANT의 핵심 개념: 번역 
  • 주의할 것: 번역은 언어적인 개념이 아닌, 존재론적 차원의 개념. 
  • 번역의 일반적 모델 (김환석 128-140쪽. 이는 칼롱이 최근에 제시한 모델을 대상으로 정리한 것. Callon et al., 2009: 48-70 참고.)
    • 1단계: 거시세계를 실험실의 미시세계로 축소 및 환원(=번역1)
      • 운송(=바깥 세계가 실험실로 장소 이동)과 변형(=실험실 안에서의 무언가 요소 추가)의 두 가지 메커니즘 결합
      • 미시세계로의 축소는 단순화와 정화 simplification and purification 수반. 연구자들이 연구하는 것은 거시세계 자체가 아닌, 정화되고 단순한 세계. 
      • 실험실이라는 미시세계에서 힘의 관계는 역전됨. (연구자 > 세계) 
    • 2단계: “제한적인 연구집단을 형성하여 이들이 도구와 능력의 강한 집중을 통해 기술과학 지식 또는 기계를 고안하고 탐색하게 만드는 단계”(=번역2).
      • 주요 개념: 기입 inscriptions. 기입이란? “관찰 가능한 복잡한 과정을 2차원 공간으로 표현되는 특징들로 환원 또는 번역하는 것.”(헤스 208) 기입은 실험실노트, 컴퓨터 디스플레이, 데이터 표, 논문 등을 모두 포함
      • 기입은 양면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 a) 기입은 실체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전적으로 연구자의 자의적인 행위가 아님. b) 하지만 기입은 “암호화된 메시지”임. “기입이 어떤 실체와 관련지어짐으로써 그 실체에 이름이 주어지고 정체성이 부여되며, 행위 형태가 귀속되도록 하는 것은 담론의 매개를 통해서만 이루어진다.”(김환석 132)
      • 좋은 연구집합체(연구자와 연구도구 등의 비인간 행위자들)의 형성은 세계의 용이한 조작 가능케 함
    • 3단계: 거시세계로의 복귀(=번역3). 미시세계에서 생산된 지식이 거시세계에서 생존한다면, 기존의 거시세계는 변화함. 
      • 실험실에서 만들어진 것은 어디까지나 “국지적 사실”
      • “거시세계로의 복귀는 실험실이 자신의 연구주제로 끌어들인 동맹자들의 자원과 지지를 필요로 한다.”(김환석 134) 여기서 다른 행위자들의 이해관심을 끌어들이려는 과정을 칼롱은 가리비 논문에서 앵테레스망(intéressement; 이해관계 부여)이라고 명명한다. 
      • 앵테레스망의 구체적 양태는 시대, 연구, 학문분과에 따라 다르나 모든 앵테레스망의 동일한 논리는 군사적 필수통과지점(obligatory point of passage; OPP)의 논리. 즉, “우리는 당신들이 원하는 것을 원한다. 따라서 당신들이 우리의 연구를 보증해서 우리와 연합하면 당신들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훨씬 늘어날 것이다”(칼롱의 말. 헤스, 209쪽)는 것. e.g. 파스퇴르의 실험. 탄저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파스퇴르의 연구실이라는 OPP를 지나야만 한다(헤스 211쪽).
      • 형성된 동맹은 거시세계에 와서 그 견고함과 생존능력을 테스트받게 됨. 이 연결망을 해체시키려는 다른 행위자들에 저항해야 함. 이 과정에서 “사회의 실험실화”가 유용할 수 있음. e.g. 자동차: “기업연구소에서 개발된 것과 동일하게 바깥 세계에서도 작동하도록 거리에는 도로망과 주유소 및 정비시설들이 설치되었다.”(김환석 139) 
    • 위와 같은 번역들은 결과적으로 “거시세계의 부분적 재편성을 초래.”(김환석 139) 
      • 우리는 파스퇴르화된 사회에서 살고 있다(브뤼노 라투르). 

행위자연결망이론에 대한 비판
  • SSK와 ANT의 논쟁
    • 1차 논쟁은 콜린스와 이얼리의 공격으로 촉발
      • 콜린스&이얼리: ANT는 비인간의 행위에 인과적 힘을 부여함으로써, 사회과학자들을 자연에 대한 전문가인 과학자에 의존하도록 만든다. 이것은 반동적이다.  
      • 김환석 141-145쪽에 정리되어 있음 
    • 2차 논쟁은 데이비드 블루어의 공격으로 촉발 
  • 헤스의 비판 
    • ANT는 인종, 계급, 식민주의, 젠더 등의 범주를 누락시키는 경향이 있음. 
    • 사회행위를 도구적으로 설명하는 경향의 문제: ANT에서 과학자들은 권력이나 이해관계에 사로잡힌, “interest dope”로 묘사되는 것 같음.